Home>예금>상품&가입

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스마트폰

당근머니 하나 통장 ‘당근페이 서비스’ 이용 실적에 따라 우대금리 및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

상품특징

‘당근페이 서비스’ 이용 실적에 따라 우대금리 및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

가입대상

만 17세 이상 실명의 개인 및 개인사업자 (1인 1계좌)

예금종류

저축예금

가입방법

「하나은행 비대면 계좌개설 서비스」를 통해서만 가입 가능
※ ‘당근’ (주1) 앱(App.) 또는 웹 페이지 內 연동
(주1) 당근: 중고거래 기반의 지역 생활 커뮤니티

상품간전환

불가 (단, 제휴 계약 종료 시 종료일 이후 최초 도래하는 결산일에 '저축예금' 으로 전환)

이자계산 및
이자지급방법

이자계산기간동안 매일의 최종 잔액에 대해 고시금리를 적용한 일별 이자를 합산하여 지급

  • 이자계산기간: 최초 예금일(또는 원가일)부터 원가일(또는 지급일)전날까지의 기간
  • 이자지급(원가)일: 매월 세번째 금요일의 다음 영업일
금리
우대금리

당근머니 하나 통장」에 입금된 당근머니 (주2)당근페이 서비스 (주3)를 이용한 경우, 아래의 조건 충족 시 매일의 최종 잔액 중 3백만원 이하의 금액에 대해 우대금리를 제공
※ 단, ㈜당근페이와의 제휴 계약이 종료된 경우, 우대금리를 제공하지 않습니다.

기준일자 : 2025-03-24

당근머니하나통장 우대금리
제공 조건 우대금리(세전)
전월 ‘당근페이 서비스’ 이용 실적이 한번 있는 경우 연 1.9%
전월 ‘당근페이 서비스’ 이용 실적이 두번 이상 있는 경우 연 2.9%
  • (주2) 당근머니: 당근페이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이 직접 유상충전하거나 다른 회원으로부터 수취하여 당근페이 사용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적지급수단
  • (주3) 당근페이 서비스: 당근 거래를 위한 당근페이의 간편 결제 및 간편 송금 등의 서비스
수수료 우대

이 통장을 통한 거래 시 아래의 수수료 우대 서비스 제공

수수료 우대
수수료우대 우대내용
당행 자동화기기를 통한 현금인출 및 타행이체 수수료 무제한 면제
인터넷뱅킹, 스마트폰뱅킹, 폰뱅킹(ARS)을 통한 타행이체 수수료
납부자자동이체(타행자동이체)수수료
연계·제휴
서비스

연계·제휴 서비스 내용: 「당근머니 하나 통장」을 당근페이 (하나)제휴 서비스의 연결 계좌로 등록한 경우 제휴사가 제공

연계 제휴 서비스 내용
제휴사명 서비스 명칭 제휴서비스 내용
당근페이㈜ (주4) 당근페이 (하나)제휴 서비스 ① 당근머니를 이 예금으로 자동 입금
② 당근페이 서비스 페이지 내에서 이 예금의 잔액 및 거래내역 조회
③ 당근페이 결제 연동

(주4) 당근페이㈜: ‘당근’거래를 위한 결제, 송금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

  • 연계·제휴 서비스 이행 책임: 하나은행은 연계·제휴 서비스 등을 부당하게 축소하거나 변경하지 않으며, 불가피하게 축소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그에 상응하는 다른 연계· 제휴 서비스를 제공
  • 연계·제휴 서비스 제공기간: 「당근머니 하나 통장」을 ‘당근페이 (하나)제휴 서비스’에 등록하여 이용 시에만 제공 (단, 제휴사와의 계약기간 내에 한하며, 선불 충전을 위한 계좌 연결 시에는 제공하지 않음)
  • 연계· 제휴 서비스 변경내용 사전 통지 방법: 서면, 우편, 팩스, 전화, E-mail, LMS 등의 방법 중 2개 이상의 방법으로 축소·변경 6개월 전부터 매월 고지 (단, 그에 상응하는 다른 연계·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금융회사의 휴업·파산· 경영상의 위기 또는 연계· 제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자의 일방적인 제공 중단 등 6개월 전부터 고지하기 어려운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 제외)
  • 연계·제휴 서비스 제공 요건: 제휴사 앞 금융거래정보 이용·제공 동의를 하고 ‘당근페이 (하나)제휴 서비스’를 이용 시 제공
혁신금융 서비스
승인에
관한 사항
  • 혁신금융 서비스 승인에 대한 내용 : 본 상품은 금융위원회 혁심금융서비스 지정에 관한 내용을 반영하여 신규 계좌 수를 57만좌로 제한합니다.
    “당근머니 하나 통장” 서비스는 금융혁신지원 특별법에 따라 혁신금융사업자로 선정된 은행이 시험운영하여 제공하는 혁신금융서비스로 동 특별법이 정하는 다음과 같은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서비스 운영이 종료될 수 있습니다.

    ① 지정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(서비스 시행 후 2년 ‘2027.03.23’)

    ② 금융위원회가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취소하거나, 중지명령(변경결정)을 하는 경우

    ③ 은행이 금융위원회에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철회를 요청하여 지정 취소가 되는 경우

    ④ 합병 등 조직변경으로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의 효력이 상실되는 경우

  • 제 1항에 따라 ‘당근머니 하나 통장 서비스’의 운영이 종료되더라도 은행은 기존에 체결된 계약에 따른 의무를 이행 해야합니다. 다만, 이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용자의 동의를 얻어 계약을 조기에 종료할 수 있으며, 서비스 중단으로 이용자의 손해가 발생하 경우 이를 배상할 책임이 있습니다.
  • ‘당근머니하나통장 서비스’는 혁신금융서비스로 선정되어 시험운영하는 서비스이며, 그로 인해 예상하지 못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용자에게 통장개설 전 ‘혁신금융 서비스 고지사항’을 안내하고, 이용자는 동 내용에 대해 동의 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해당 조치는 회사가 이용자에 대해 부담하는 법률적 책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
  • ㈜ 하나은행은 혁신금융서비스의 제공 및 중단 등으로 인하여 이용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고의 또는 과실이 없음을 입증하지 못하는 한 이를 배상할 책임이 있으며, 은행의 책임과 관련하여 금융혁신지원특별법, 전자금융거래법, 은행법 등 다른 법령에 이용자에게 유리하게 적용 될 수 있는 규정이 있는 경유에는 그 법령이 우선 적용됩니다.
세제혜택
  • 비과세 종합저축으로 가입 가능 (전 금융기관 통합한도 범위내)
  • 관련 세법이 개정될 경우 세율이 변경되거나 세금이 부과될 수 있으며, 계약기간 이후의 이자는 과세됨
유의사항
  • ㈜당근페이와의 제휴 계약이 종료된 경우, 우대금리를 제공하지 않으며, 종료일 이후 최초 도래하는 결산일에 ‘저축예금’으로 전환됨
  • 우대금리의 제공조건 및 이자율은 시장금리 변동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, 변경 시 재고시 함

※ 금융상품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금융상품 설명서 및 약관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.
※ 금융소비자는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.
※ 이 홍보물은 법령 및 내부통제기준에 따른 절차를 거쳐 제공됩니다.

원금 및 이자지급제한
  • 계좌에 압류, 가압류, 질권설정 등이 등록될 경우 원금 및 이자지급 제한될 수 있습니다.
    ※민사집행법에 따라 최저생계비 이하 등 압류금지채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법원에 압류금지채권 변경 신청 등을 통해 압류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.
  • 예금잔액증명서 발급 당일에는 잔액 변동이 불가합니다.
  • 통장이 ‘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’ 에서 정의한 피해의심거래계좌 및 사기이용 계좌로 이용될 경우 이체, 송금지연, 지급정지 등의 금융거래 제한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.
위법계약해지권
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47조에 따른 위법계약해지 사유가 발생한 경우, 계약체결일로부터 5년 이내 범위에서 위반사실을 안 날로부터 1년 이내에 서면 등으로 해당 계약의 해지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. 이 경우 금융회사는 해지를 요구받은 날부터 10일 이내에 금융소비자에게 수락 여부를 통지하여야 하며, 거절할 때에는 거절사유를 함께 통지하여야 합니다. 만약 금융소비자의 요구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수수료 등 계약해지와 관련한 추가 비용 부담없이 계약해지가 가능합니다.
민원처리 및
분쟁조정 절차
본 상품에 대한 문의사항 또는 민원 상담이 필요하시면 영업점, 고객센터(1599-1111,0,1), 고객의 소리(080-933-1111),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(www.kebhana.com)를 통해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. 또한 분쟁이 발생한 경우에는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따라 금융감독원 민원상담 센터(국번없이 1332) 또는 e-금융민원센터 (http://www.fcsc.kr)에 분쟁조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예금자 보호
KDIC 보호금융상품

이 예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1인당 “5천만원까지”(본 은행의 여타 보호상품과 합산) 보호됩니다.

  • * 준법감시인 심의필 제2025-상품공시-173호(2025.03.17)
  • * 본 공시내용의 유효기간 : 2025.03.17 ~ 2027.03.16
  • * 기준일 : 2025년 03월 20일